Today’s Scripture:
Lamentations 2:10–13, 18–19
10 The elders of Daughter Zion sit on the ground in silence;
they have sprinkled dust on their heads and put on sackcloth.
The young women of Jerusalem have bowed their heads to the ground.
11 My eyes fail from weeping, I am in torment within;
my heart is poured out on the ground because my people are destroyed,
because children and infants faint in the streets of the city.
12 They say to their mothers, “Where is bread and wine?”
as they faint like the wounded in the streets of the city,
as their lives ebb away in their mothers’ arms.
13 What can I say for you? With what can I compare you, Daughter Jerusalem?
To what can I liken you, that I may comfort you, Virgin Daughter Zion?
Your wound is as deep as the sea. Who can heal you?
18 The hearts of the people cry out to the Lord.
You walls of Daughter Zion, let your tears flow like a river day and night;
give yourself no relief, your eyes no rest.
19 Arise, cry out in the night, as the watches of the night begin;
pour out your heart like water in the presence of the Lord.
Lift up your hands to him for the lives of your children,
who faint from hunger at every street corner. (NIV)
애 2:10-13, 18-19
10 딸 시온의 장로들이 땅에 앉아 잠잠하고 티끌을 머리에 덮어쓰고 굵은 베를 허리에 둘렀음이여 예루살렘 처녀들은 머리를 땅에 숙였도다
11 내 눈이 눈물에 상하며 내 창자가 끊어지며 내 간이 땅에 쏟아졌으니 이는 딸 내 백성이 패망하여 어린 자녀와 젖 먹는 아이들이 성읍 길거리에 기절함이로다
12 그들이 성읍 길거리에서 상한 자처럼 기절하여 그의 어머니들의 품에서 혼이 떠날 때에 어머니들에게 이르기를 곡식과 포도주 어디 있느냐 하도다
13 딸 예루살렘이여 내가 무엇으로 네게 증거하며 무엇으로 네게 비유할까 처녀 딸 시온이여 내가 무엇으로 네게 비교하여 너를 위로할까 너의 파괴됨이 바다 같이 크니 누가 너를 고쳐 줄소냐
18 그들의 마음이 주를 향하여 부르짖기를 딸 시온의 성벽아 너는 밤낮으로 눈물을 강처럼 흘릴지어다 스스로 쉬지 말고 네 눈동자를 쉬게 하지 말지어다
19 초저녁에 일어나 부르짖을지어다 네 마음을 주의 얼굴 앞에 물 쏟듯 할지어다 각 길 어귀에서 주려 기진한 네 어린 자녀들의 생명을 위하여 주를 향하여 손을 들지어다 하였도다 (개역개정)
Insights:
Her father blamed his illness on witchcraft. It was AIDS. When he died, his daughter, ten-year-old Mercy, grew even closer to her mother. But her mother was sick too, and three years later she died. From then on, Mercy’s sister raised the five siblings. That’s when Mercy began to keep a journal of her deep pain.
The prophet Jeremiah kept a record of his pain too. In the grim book of Lamentations, he wrote of atrocities done to Judah by the Babylonian army. Jeremiah’s heart was especially grieved for the youngest victims. “My heart is poured out on the ground,” he cried, “because my people are destroyed, because children and infants faint in the streets of the city” (2:11). The people of Judah had a history of ignoring God, but their children were paying the price too. “Their lives ebb away in their mothers’ arms,” wrote Jeremiah (v. 12).
We might have expected Jeremiah to reject God in the face of such suffering. Instead, he urged the survivors, “Pour out your heart like water in the presence of the Lord. Lift up your hands to him for the lives of your children” (v. 19).
It’s good, as Mercy and Jeremiah did, to pour out our hearts to God. Lament is a crucial part of being human. Even when God permits such pain, He grieves with us. Made as we are in His image, He must lament too! By: Tim Gustafson
“내 간이 땅에 쏟아졌으니 이는……어린 자녀와 젖 먹는 아이들이 성읍 길거리에 기절함 이로다” (예레미야애가 2:11)
그녀의 아버지는 자신의 질병을 마법에 걸린 탓이라고 했지만, 그것은 사실 에이즈였습니다. 아버지가 죽었을 때 열 살이었던 딸 머어시는 엄마와 더욱 가까워지면서 자랐습니다. 그런데 엄마마저 병에 걸려 3년 후 죽고 말았습니다. 그때부터 언니가 다섯 명의 형제자매를 키웠는데, 머어시가 그녀의 깊은 고통을 일기에 기록하기 시작한 것도 바로 그때였습니다.
예레미야 선지자도 그의 고통을 기록했습니다. 암울한 책인 애가서에서 그는 바빌론 군대가 유다 백성에게 행한 잔혹 행위를 적었습니다. 예레미야는 나이 어린 희생자들에 특히 가슴 아파하여 이렇게 울부짖었습니다. “내 간이 땅에 쏟아졌으니 이는 딸 내 백성이 패망하여 어린 자녀와 젖 먹는 아이들이 성읍 길거리에 기절함이로다”(2:11). 유다 백성들이 하나님을 거역한 일 때문에 그 자녀들도 대가를 치루었던 것입니다. “아이들이 어머니의 품에서 숨져 간다”(12절, 새번역) 고 예레미야는 기록했습니다.
그 같은 고통을 목격하면서 예레미야가 하나님을 원망할 만도 한데, 그는 오히려 살아남은 자들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네 마음을 주의 얼굴 앞에 물 쏟듯 할지어다…… ‘네 어린 자녀들의 생명’을 위하여 주를 향하여 손을 들지어다”(19절).
머어시나 예레미야가 한 것처럼 우리의 마음을 하나님께 쏟아놓는 것은 잘 하는 일입니다. 비탄은 인간 됨의 아주 중요한 부분입니다. 하나님은 우리에게 그 같은 고통을 허락하실 때조차 우리와 함께 슬퍼하십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형상으로 만들어졌기에 하나님도 틀림없이 비탄해하십니다!
Reflect & Pray:
How do you handle the painful situations in your life? How might it help you to write it down and share your journal with a friend?
Dear God, I’m hurting because of ____________________. You see my grief. Please show Your strength in my life today.
살면서 고통스런 상황에 처했을 때 어떻게 감당하십니까? 어려운 일을 글로 적고, 또 친구와 그 일기를 함께 나누는 것이 어떻게 도움이 될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____________________ 때문에 지금 아픕니다. 저의 슬픔을 보시고 오늘 제 삶 속에 하나님의 능력을 보여주소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