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주소: 30465 FARMINGTON RD, FARMINGTON HILLS, MI 48334
이메일: ADMIN@KPCMUSA.ORG
        
다음세대
EM 비전과 사역
유아부
유초등부
중고등부
한글학교
청년부
EM 장년부
Life Sharing
EM 비전과 사역

Sermon Summary and Activity Guide (May 30, 2021)

Sermon summary and Activity guide for the 1st week after Pentecost, 2021

2021년 성령강림후 첫번째 주일 설교 요약 및 Activity 안내

본문 롬6:1-14, 암송 구절 롬6:4, 2021년5월30일

Text Rom 6:1-14, Recitation V. Rom 6:4, May 30, 2021

영과 진리로 예배하는 예배자를 찾으시는 하나님 아버지께서, 우리의 예배를 통해 올려 드리는 모든 감사와 찬양과 영광을 기쁘게 받으실 줄 믿습니다.

We believe that Heavenly Father, who is looking for worshipers who worship with spirit and truth, will gladly receive all the thanks, praise, and glory that we offer through our worship.

지난 주에는, 누가 15:11-24 말씀을 통하여, 잃어버린 자를 애타 찾으시고 회개하고 돌아오기를 기다리시는 아버지의 마음을 헤아려 보고, 우리도 아버지를 기쁘시게 하며 살기를 다짐해 보았습니다. 이번 주에는 로마서 6장 1-14절 말씀을 통하여, 세례를 통하여 주님과 연합하여 옛사람이 죽고 세사람으로 사는 세례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 함께 은혜 받기를 소망합니다.

Last week, through Luke 15:11-24, we together decided to live in His pleasing will to find and wait for the lost. This week, through Rom 6:1-14, we would like to learn the meaning of the Baptism through which we died in our old-self, yet live in new-self by the union with Jesus.

  • 우리는 여러 차례에 걸쳐, 참 믿음을 통해서, 예수님과 연합함으로 하나님의 사랑 안에서 예수님께서 이루어 놓으신 모든 은택들을 받아 누릴 수 있다고 배웠고 이 믿음은 하나님께서 주신 선물인데, 하이델베르그 요리문답 문답65항에 의하면, “성령께서 거룩한 복음의 설교를 통하여 우리 마음에 창조하셨으며, 거룩한 성례를 통하여 그 믿음을 확증”해 주신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저희 개혁주의 교회에서는 말씀, 성례, 혹은 기도 (하이델베르그 요리문답과 벨직 신앙 고백은 전자 두개만을,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은 세번째 기도도 포함시키며, 섭리를 포함시키는 신학자도 있음) 를 은혜의 수단, 즉 믿음을 주시고 성장시키는 수단으로 말하는데, 개혁주의 성례는 세례와 성찬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어거스틴은 성례를 “불가시적인 은혜의 가시적인 표지” 혹은 “눈에 보이는 말씀”이라고 했는데 그 이유는 성례가 하나님의 약속들을 마치 그림으로 그려 놓은 것처럼 우리 눈 앞에 형상화하여 회화적으로 드러내 보여주기 때문이라고 했습니다. (칼빈, 기독교 강요 4권, p338). 성례는 눈으로 볼 수 있는 거룩한 표시이며 보증으로 하나님께서 성례를 제정하셔서 그것을 행하는 우리들이 복음의 약속을 더욱 명확하게 이해하도록 하시고 자신의 약속을 확증하십니다. (하이델베르그 요리문답 #66)
  • We learned several times that in the love of God we will be nourished all the merits that Jesus Christ earned for His elect through the faith in Him which is also the sheer gift of God as Heidelberg catechism says in Q&A 65 “The Holy Spirit produces it (faith) in our hearts by the preaching of the holy gospel, and confirms it by the use of the holy sacraments.” The reformed church believes that the means of grace through which God produces and cultivates our faith are the Word, the Sacraments and prayer; the first two are included in the Heidelberg catechism and Belgic confession and the last one is referred in the Westminster confession, while other theologians include the Providential care of God also and the Sacraments that the reformed churches agree are the baptism and the holy supper. Augustine names a sacrament “‘a visible form of an invisible grace’ or ‘a visible word’8 for the reason that it represents God’s promises as painted in a picture and sets them before our sight, portrayed graphically and in the manner of images.[1]“ “Sacraments are visible, holy signs and seals. They were instituted by God so that by our use of them the promise of the gospel, and seal that promise. (Heidelberg catechism Q&A#66)”
  • 성례중 이번 주에는 세례에 대해 함께 배워보기를 원하는데, 세례는 칼빈이 말한 것처럼 “입문의 표시인데 우리는 그리스도 안에 접붙임을 받아 하나님의 자녀의 일원으로 인정받기 위하여 이 세례를 통하여 그리스도의 회에 받아들여 진다 (칼빈, 기독교강요 4권, p.367)” 세례는 예수 그리스도와 연합하여 그리스도의 삶과 죽음과 부활에 참여함을 의미하며, 세례를 통하여 우리의 믿음은 다음과 같은 유익을 누린다. 첫째 “우리의 죄 씻음을 보증”하며 둘째, “그리스도 안에서 죽고 새생명을 받은 표징”이며 마지막으로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보증”해 준다. (칼빈, 기독교 강요, 4권) 개혁주의 세례는 인간편에서의 신앙 고백에 주안점이 있는 것이 아니라, 그의 백성들에 대한 하나님의 약속에 주안점을 두어 그의 언약 백성이 되었다는 공적 공표를 뜻한다.
  • Among two sacraments, we would like to learn about the baptism this week. Calvin says “Baptism is the sign of the initiation by which we are received into the society of the church, in order that, engrafted in Christ, we may be reckoned among God’s children.[2]” The baptism means the participation into the life, death and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through the union of Christ through which we enjoy the following benefits; 1) it seals the cleansing of sins, 2) it is sign of the dying-away of Old self and rising to the life of New (Heidelberg catechism Q&A88) in Christ, and 3) it seals the union with Christ. (Calvin, Institute of Christian religion, Book IV). The baptism in the reformed doctrine is the public declaration of God that the baptized one becomes His covenantal people focusing on the promise of God instead of focusing on people’s promise to God.
  • 오늘 본문 로마서 6장에서 바울은 세례는 “죄의 본성을 따라가던 우리의 옛사람이 예수 그리스도와 함께 죽고 예수 그리스도와 함께 다시 살아나 새사람이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영적인 의미의 세례는 신자가 예수님을 믿을 때 성령의 신비한 역사를 통하여 예수 그리스도와 연합되어 새로운 영적 삶을 살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신자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성령으로 거듭난 신자는 죄에 대하여 죽고 하나님께 대하여 산 자이기에 더 이상 죄 가운데 거할 수 없으며,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보혈과 성령의 은혜는 신자로 하여금 날마다 죄를 이기고 살아가도록 하기에 충분한 은혜가 이미 주어진 바, 이제 더 이상 죄의 종으로 살지 말고 자기의 지체를 의의 무기로 하나님께 드리라고 권면하고 있는 것입니다.
  • In Roman chapter 6, Paul says that baptism means that we are dead in Old-self which follows the sinful nature and are risen to the life of New in Jesus Christ, i.e., in the spiritual meaning, the baptism means that the baptized one started to live the new life after being regenerated and united with Jesus Christ by the work of the Holy Spirit. Therefore, the believers who were born again after confessing the faith in Jesus, cannot keep on sinning, since they died to the sin and lives in God since they were given sufficient grace through which they can overcome sins through the blood of Jesus Christ in the cross and grace of the Holy Spirit so that Paul exhorts that Christians should not live in sins yet dedicate themselves to God as the instruments for righteousness (v.13).
  • 오늘 본문 말씀을 통해서 몇가지 은혜를 나누기 원하는 데, 첫번째 우리는 성령으로 거듭나 예수 안에서 믿음을 고백하고 성령의 역사로 그리스도와 연합하게 되면서, 죄의 사슬이 끊어져 우리를 더 이상 주장하지 못하게 되었고 성령의 인도하심을 받는 상태가 되었으므로 죄를 지속적이고 습관적으로 계속지을 수 없게 되었습니다. 그러므로 매순간 성령님께서 말씀으로 우리의 삶을 인도하실 때 순종하는 삶을 살아야 할 줄로 믿습니다. 두번째, 세례는 그러한 옛사람이 죽고 새사람으로 사는 신적 은혜에 대한 외형적 증표로, 주님께서는 주님의 거룩한 말씀과 성례를 통하여 우리에게 긍휼을 베푸시며 그의 은혜의 보증을 주시는 바, 우리가 이를 믿음올 받을 때에야 그 은혜의 의미를 깨닫게 되는데, 이것을 어거스틴은 말씀의 효력이 성례 안에서 밝히 드러나는 것은 말씀이 선포되기 때문이 아니라 그 말씀을 믿기 때문이라고 하였습니다. (어거스틴, 요한복음 23:3 주석) 따라서, 우리는 물과 성령으로 거듭나 그리스도 예수와 함께 옛사람은 죽었고 새사람으로 살아났음을 믿음으로, “육체를 죽이는 일에 있어 그리스도의 죽으심의 효력있는 역사하심과 성령의 살려 주시는 역사에서 그의 부활이 역사하는 것을 느낄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 (칼빈, 기독교 강요, 4권, p371) 그리고 마지막으로 그러므로 우리는 이제 남은 삶을 옛사람의 정욕을 쫓아 살것이 아니라 우리 지체를 하나님께 의의 무기로 드림으로, 하나님 나라 건설을 위해 쓰임 받을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
  • Through today’s Bible verses, we would like to receive some grace. First, since we were born again in the Holy Spirit after confessing our Faith in Jesus, united into Jesus Christ, liberated from the chain of sin so that it cannot dominion over us, and are under the leading of the Holy Spirit, we no longer can keep on sinning and remain in habitual sin. Therefore, we have to live the life of obedience as the Holy Spirit leads us with the Word of God. Secondly, since baptism c the outward sign on the divine grace by which our old-self died and new was born as our Lord mercies on us and seals His grace through His word and baptism, we may recognize its meaning of grace when we receive it by faith, as Augustine says the reason why the word works in the sacraments is not because the word is just proclaimed, but because it is believed. (Augustine, the commentary on John 23:3) Therefore through the faith, I hope we may experience the effective work of the death of Christ in crucifying our sinful nature and also the work of His resurrection in us by the work the Holy Spirit. And finally I hope we may be used as His instrument of righteousness for His kingdom building by dedicating ourselves to God, instead of living in the desire of our sinful nature in the remaining life.
  • 기도하옵기는, 사랑하는 우리 KPCM 자녀들과 가족들과 교회에, 성령강림절기 첫번째 주일을 맞아, 주님께서 베푸신 성례, 특히 세례의 깊은 은혜를 깨닫고, 하나님의 뜻을 쫓는 새사람으로 살며 하나님 나라 확장에 쓰임받는 복을 누릴 수 있게 되시기를 기도합니다.
  • I pray that His beloved KPCM children, families and church may enjoy the blessing to be used by God for His ministry to build His kingdom, after recognizing the deep grace of the baptism which our Lord instated in the first week of the Pentecost season.

Activity questions and thought behind

Q1 I believe that you belong to any kinds of group at church or school. It could be a class, or study group or small group. We human beings are intended to live in the social relationship anyhow. Would you share your thoughts or idea with your friends on which group you belong? And how do you have to act in order to stay in that group? 여러분들은 학교에서나 교회에서 어떤 식으로든 어떤 그룹에 소속이 되어 있을 줄로 믿습니다. 그게 반 (Class) 일수도 있고, 소그룹 (small group) 일수도 있고, 목장 일수도 있고, 우리는 살면서 다양한 그룹에 소속이 되어 살도록 되어 있습니다. 여러분들이 어떤 그룹에 소속되어 있는지 그리고 그 그룹에 남아 있기 위해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 여러분들의 생각을 친구들에게 나누어 주시면 좋겠어요.

(이 질문을 통하여, 우리 인간은 어떤 식으로든 그룹에 소속되어 살게 되어 있으며, 각 그룹들은 나름대로 행동 양식등 그 그룹에 소속되기 위한 나름의 규칙이나 요구사항이 있는데, 그런 것들이 어떤 것이 있는지 한번 생각해 보는 시간이 되기를 원합니다. 다양한 생각과 의견과 감정과 경험을 표현할 때 공감해 주시면서, 때때로 생각의 이유도 물어 보시면서 아이들과 적극적 경청과 공감의 대화를 나누실 수 있으시기를 소망합니다.)

(Through this question, I hope our children may recognize that we human beings are intended to belong to any kinds of group and also each group has its own rule or requirement for its members so that they can think of what those are. When your children express diverse thoughts, opinions, emotions, or experiences, I hope you may empathize with them to enjoy the conversation of empathy through active listening, sometimes asking their thoughts behind.)

Q2 As such, when we confess our faith and be baptized (including infant baptism) we became His covenantal people by pledging our sincerity as His people before the congregation. Through baptism, we believe that by the baptism as the liturgy in public through which our old self was died when we sunk into the water and we were risen in new when we rise from the water, we became His covenantal people and pledged to live the appropriate life as His holy people before God. Could you share your thoughts with your friends on how we have to live as His holy people? 그와 마찬가지로 우리도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믿음의 고백을 하고 세례 (유아 세례)를 받았을 때 우리는 하나님의 언약 백성으로서 서약을 하고 하나님 나라 백성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셰례의식은 우리의 죄의 굴레인 옛사람이 물에 잠길 때 죽었고, 물에서 다시 일어날 때 우리가 새사람으로 거듭났음을 표시하는 예식으로, 우리가 이제 하나님의 언약 백성이 되어, 하나님 앞에서 하나님의 뜻에 합당한 생활을 하기로 서약한 것입니다. 여러분 이제 하나님의 언약 백성으로서 어떻게 해야 할지 여러분들의 생각을 친구들에게 나누어 주시면 좋겠어요

(이 질문을 통하여, 우리들도 믿고 세례를 받음으로 하나님의 언약 백성으로서 그에 합당한 생활을 하겠다고 하나님과 교회 앞에서 서약하였음을 기억하고, 우리가 하나님의 백성으로 어떻게 살아야 할지를 생각해 보는 시간이 되기를 소망합니다. 다양한 생각과 의견과 감정과 경험을 표현할 때 공감해 주시면서, 때때로 생각의 이유도 물어 보시면서 아이들과 적극적 경청과 공감의 대화를 나누실 수 있으시기를 소망합니다.)

(Through this question, I hope our children may remember that they pledged to live the holy life in front of God as His holy people and think how to live to please God. When your children express diverse thoughts, opinions, emotions, or experiences, I hope you may empathize with them to enjoy the conversation of empathy through active listening, sometimes asking their thoughts behind.)

사랑합니다. 감사합니다. 축복합니다.

Love you… Thank you… Bless you…

Prayer Note 기도 노트

(                                           ) God (                                                     ) !

Thanks for (                                                                                          )

Praise, gratitude and glory c You, Lord!

Today, I realized my sin (pains) that (                                                  ),

please forgive (heal) me and help me not to (                                       ).

I learned that (                                                                                       )

Please help me (or someone) to (                                                          )

I pray in (                            ) Jesus’ name. Amen.

8 Augustine, John’s Gospel, loc. cit.: “tanquam visibile verbum”; Against Faustus xix. 16 (MPL 42. 357; tr. NPNF IV. 244). Cf. J. C. McLelland, The Visible Words of God: An Exposition of the Sacramental Theology of Peter Martyr, pp. 129, 138; Cadier, La Doctrine Calviniste de la Sainte Cène, pp. 52 f.

[1] Calvin, J. (2011).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 2. (J. T. McNeill, Ed., F. L. Battles, Trans.) (Vol. 1, p. 1281). Louisville, KY: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 Ibid, p. 1303

This entry was posted in EM 비전과 사역, EM 장년부, 유초등부, 중고등부, 청년부. Bookmark the permalink.
No.TitleWriterDate
351 [공지] EM Vision and Ministries webmaster 2020.02.04
350 2024 KPCM VBS Teacher JH_Kim 2024.09.02
349 EM Worship Service @ Aug 29 webmaster 2021.08.26
348 Memory Verse @ Aug 29 – SS, YG, YAG, EAG webmaster 2021.08.26
347 Sermon Summary and Activity Guide (Aug 29, 2021) webmaster 2021.08.26
346 2021년 8월 29일 주일학교 주일 예배 동영상 webmaster 2021.08.26
345 EM Worship Service @ Aug 22 webmaster 2021.08.21
344 Memory Verse @ Aug 22 – SS, YG, YAG, EAG webmaster 2021.08.21
343 Sermon Summary and Activity Guide (Aug 22, 2021) webmaster 2021.08.21
342 2021년 8월 22일 주일학교 주일 예배 동영상 webmaster 2021.08.21
< Prev 1 2 3 4 5 6 7 8 9 10 36 ... Next > 

미시간 한인장로교회 Korean Presbyterian Church of Michigan
30465 Farmington Rd. Farmington Hills, MI 48334 | 전화번호: (248) 592-9960 | 이메일: kpcm.studio@gmail.com
Copyright © 2016 미시간장로교회 (Korean Presbyterian Church of Michigan).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미시간장로교회 (Korean Presbyterian Church of Michig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