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mon summary and Activity guide for the 5th week after Pentecost, 2021
2021년 성령강림후 다섯번째 주일 설교 요약 및 Activity 안내
본문 엡4:17-24, 암송 구절 엡4:23-24, 2021년6월27일
Text Eph 4:17-24, Recitation V. Eph4:23-24, Jun 27, 2021
영과 진리로 예배하는 예배자를 찾으시는 하나님 아버지께서, 우리의 예배를 통해 올려 드리는 모든 감사와 찬양과 영광을 기쁘게 받으실 줄 믿습니다.
We believe that Heavenly Father, who is looking for worshipers who worship with spirit and truth, will gladly receive all the thanks, praise, and glory that we offer through our worship.
지난 주에는, 누가 19:1-10 말씀을 통하여, 세리장 삭개오가 예수님을 만나 구원받고 변화된 삶으로 감사의 마음을 표현했던 것처럼, 우리들의 삶에도 은혜로 받은 구원으로 인하여 감사의 삶으로 보답하기를 소망합니다. 이번 주에는 에베소서 4장 17-24절 말씀을 통하여, 전적인 은혜에 의한 구원에 감사하는 삶이란 구체적으로 어떤 것인지 살펴 보고 함께 은혜 나누기를 소망합니다.
Last week, through Luke 19:1-10, I hope we may express our gratitude through our transformation, as Zacchaeus expressed his gratitude to Jesus who showed favor and saved him in His grace, with his transformed life. This week, through Rom 6:1-14, we would like to learn the meaning of the Baptism through which we died in our old-self, yet live in new-self by the union with Jesus.
- 지난 주에 우리는 전적인 하나님의 은혜로 받은 구원에 대하여, 인간은 입술의 감사와 삶의 변화로 그 감사를 표현한다고 배웠는데, 이번 주에는 그 변화된 삶, 즉 참된 회심이란 어떤 것인지 에베소서 4장 17-24절 말씀을 통해서 배워보기를 소망합니다. 오늘 본문 말씀에 의하면, 진리이신 예수님께 배우고 그가 가르쳐 주신 삶은 옛날 습관을 따르는 옛사람을 벗어 버리고 하나님을 따라 의와 진리의 거룩함으로 지으심을 받은 새사람을 입는 삶이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 Last week, we learned that we respond with the life of gratitude in response to the salvation of God in sheer grace. This week we will learn how the life of transformation, authentic conversion, looks like through Eph 4:17-24. According to today’s Bible verses, since we learned from Jesus who is truth, we put off the old self who has been following the former manner of life and put on new self who was created in the likeness of God in true righteousness and holiness.
- 특히 오늘 본문은 구원을 받기 전의 삶은 지각이 어두워져 무지와 완악한 마음을 가지고 있어 하나님의 생명으로부터 소외되어 있으며 수치감을 잃어버리고 방탕과 탐욕과 더러움에 빠져 있었지만, 그리스도 안에 있게 된 즉 그리스도와 연합하게 된 크리스천은 진리되신 예수님에 대하여 듣고 그 안에서 가르침을 받아, 지난 날의 생활 방식을 쫓는 옛사람을 벗어 버리고, 여러분들의 영이 나날이 새롭게 되어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새사람을 입고 올바르고 거룩한 진리의 생활을 하여야 한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 Especially in today’s text, we were all darkened in understanding and ignorant and hardened in our heart, so that we were alienated from the life of God and lost their sensitivity and have abandoned themselves to licentiousness, greedy and impurity. But, Christians who abide in Him, i.e., were united into Christ, learned Jesus who is the truth and were taught in Him, so that we put off old self who has been following the old manner of life and put on new self who were created in the likeness of God to live in true righteousness and holiness, to be renewed in the spirit of mind every day.
- 이러한 생활을 하이델베르그 요리문답 88항에서는 진실된 회개 혹은 회심의 삶이라고 하며, 옛사람이 죽는 것과 새사람으로 사는 것인데, 부패한 마음과 의지가, 율법과 복음의 선포를 통하여 성령으로 말미암아, 선한 마음과 의지로 바뀌어 회개의 열매들을 맺고 하나님의 뜻대로 살고자 하는 진정한 마음이 생기는 것입니다. (자카리아스 우르시누스, 하이델베르그 요리분답 해설서) 그리고 요리문답 89-90항에서는 옛사람이 죽는다는 것은 우리가 죄로 말미암아 하나님을 진노케 하였다는 것을 마음 깊이 슬퍼하며 그 죄들을 더욱 미워하고 그것을 피하는 것이며, 새사람으로 사는 것은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 안에서 마음 깊이 기뻐하며, 하나님의 뜻에 따라 모든 선을 행하며 살기를 사모하며 즐거워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 This kind of life is called true repentance or conversion in Heidelberg catechism Q&A 88, which is composed of “the dying-away of the old self and the rising-to-life of the new”, i.e., “Man’s conversion to God consists in a change of the corrupt mind and will into that which is good, produced by the Holy Ghost through the preaching of the law and the gospel, which is followed by a sincere desire to produce the fruits of repentance, and a conformity of the life to all the commands of God.”[1] And Heidelberg catechism Q&A 89&90 say that the dying-away of the old self is “to be genuinely sorry for sin and more and more to hate and run away from it” and the rising-to-life of new is “whole-hearted joy in God through Christ and a love and delight to live according to the will of God by doing every kind of good work.”
- 오늘 본문 말씀을 통해서 몇가지 은혜를 나누기 원하는데, 첫번째 우리의 옛사람은 예수님을 통하여 이미 십자가에 못 박았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즉 옛사람은 죄의 사슬에 매여 죄(사단)의 종노릇을 하고 있었는데, 예수님께서 육신의 모양을 입으시고 십자가에 죽으심으로 그 사슬을 부숴 버리셨기에, 우리는 더 이상 죄(사단)의 지배하에 있지 않다는 사실이며, 세례를 통하여 이에 대한 표시와 보증을 받았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우리속에 새롭게 창조해 주신 새사람으로써 하나님의 뜻대로 살아야 하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두번째로 우리가 알아야 하는 것은 중생한 우리 속에 우리의 죄성 Sinful Nature 는 그대로 남아 있어, 우리를 유혹하며 또 때때로 넘어지기도 한다는 사실입니다. 아직 이렇게 우리의 죄성을 남겨 두신 이유는 이를 통하여 우리가 더욱 겸손해져서, 육신을 의지하는 것이 아니라 더욱 성령님을 의지하여 살도록 하기 위한 것임을 알고, 매일 매일 우리의 죄성이 일어 날때 마다 십자가에 못박고 주님을 쫓아야 할 줄로 믿습니다. 그래서 주님께서는 “아무든지 나를 따라오려거든 자기를 부인하고 날마다 제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를 것이니라 (눅 9:23)”고 말씀 하셨던 것입니다. 이러한 모든 과정이 하나님의 크신 사랑 안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공로를 근거로 하여 성령님을 통하여 우리 속에서 이루어 가시는 하나님의 사역인 것을 기억하고 늘 감사하며 주님의 인도하심에 순종하며 나아가는 우리 모두가 되기를 소망합니다.
- Today we would like to learn few things; Firstly we have to remember our old self was crucified with Christ in the cross already, i.e., our Lord Jesus broke chain through which we are enslaved to sin by taking the likeness of sinful nature and crucified in the cross so that we are no longer under the dominion of sin (or Satan) and the Baptism is the sign and seal of that fact. Therefore we have to live in His pleasing will as new self which was created in the image of God. But, secondly we have to know that sinful nature still remains in us even after regeneration, so that it may tempt us and make us slip away frequently. But the reason why our sinful nature was left in us is to make us humble so that we rely on more and more on the Holy Spirit and follow our Lord after crucifying it whenever our sinful nature rose in us as Jesus says “Whoever wants to be my disciple must deny themselves and take up their cross daily and follow me. (Lk 9:23)” I hope that you all may thank God and obey to His leading by remembering that all these process is the work of Triune God through the work of the Holy Spirit by Jesus Christ’s merits in God’s love.
- 기도하옵기는, 사랑하는 우리 KPCM 자녀들과 가족들과 교회에, 성령강림후 다섯번째 주일을 맞아, 매일 매일 자기를 부인하며 끊임없이 일어나는 죄성을 십자가에 못박고, 새 사람으로 나날이 성장하는 진정한 회심의 은혜를 누릴 수 있게 되시기를 기도합니다.
- I pray that His beloved KPCM children, families and church may enjoy the grace of authentic conversion in which we may grow more and more into the image of the Son by denying self and taking own cross and following Him more closely in the fifth week after the Pentecost.
Activity questions and thought behind
Q1 Do you have any experience that when you go out for camping, you found a glass bottle in which dirty mud was filled, but after digging out all the mud and cleaning it, it became a really beautiful and precious one? If you have a similar experience, would you share your thoughts or idea with your friends? 여러분~~~ 혹시 캠핑을 가서 시내가에서나 호수가에서 놀다가 예쁜 그러나 진흙이 가득한 유리병을 찾아낸 적이 있으신가요? 처음 찾아내었을 때는 진흙이 가득차 있었지만 흐르는 맑은 물에 하나 하나 진흙을 씻어 깨끗이 닦아 내면 진짜 예쁘고 깨끗한 유리병이 되는 것을 경험한 적이 있지요? 혹 그런 유리병이나 그릇을 찾아 깨끗하고 씻었더니 진짜 아름답고 예쁘고 깨끗한 유리병으로 다시 태어났던 그런 경험이 있으시면, 친구들과 함께 나누어 주시면 좋겠어요.
(이 질문을 통하여, 우리 아이들의 일상 생활에서 진실한 회심과 성화의 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예들이 많은데, 특히 야외에 나가 활동하면서 진흙속에서 귀한 것을 발견하고 씻고 진흙을 퍼내는 과정을 통하여 예쁘고 귀한 것으로 변한 기억들을 되새겨 보는 시간이 되기를 소망합니다. 다양한 생각과 의견과 감정과 경험을 표현할 때 공감해 주시면서, 때때로 생각의 이유도 물어 보시면서 아이들과 적극적 경청과 공감의 대화를 나누실 수 있으시기를 소망합니다.)
(Through this question, I hope our children may have a chance to remind his/her experience that he/she found a dirty glass bottle with mud and cleaned it into a beautiful and precious one, as an example through which they can understand the sanctification process thought it. When your children express diverse thoughts, opinions, emotions, or experiences, I hope you may empathize with them to enjoy the conversation of empathy through active listening, sometimes asking their thoughts behind.)
Q2 As we already shared in the previous question, as even the mud-filled glass can become a beautiful and precious one after cleaning and digging out all the mud, we can become more and more like Jesus, by abandoning old manner of life, yet by the process and exercise to live in His pleasing will, as the life of gratitude in response to the salvation by sheer grace. Jesus says that we have to deny ourselves and take our own cross and follow Him more closely every day, I wonder how it looks like? Could you share your thoughts with your friends? 위에서 살펴본데로 진흙이 가득든 유리병도 병속을 가득 채운 진흙을 퍼내고 깨끗한 물로 씻으면 예쁘고 깨끗한 것이 될 수 있듯, 우리가 주님의 은혜로 이룬 구원에 감사하는 삶도 그와 같이 옛날의 생활 습관을 점점 버리고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뜻을 따라 살아가려는 결단과 훈련 과정을 통하여 우리가 점점 예수님을 닮아 갈 수 있답니다. 예수님께서는 “나를 쫓아오려면, 자기를 부인하고 자기 십자가를 지고 예수님을 쫓으라”고 하셨는데, 매일 매일 살면서, 그러한 나쁜 습관이나 행동이 나오면 어떻게 하라는 말씀이실까요? 여러분들의 생각을 친구들과 나누어 주시면 좋겠어요
(이 질문을 통하여, 우리 어린이들이 매일 매일 유혹들과 옛 습관들이 일어날 때, 그것들을 예수님의 십자가 밑으로 가져와 고백하고 내려놓음으로 나날이 새롭게 되어 예수님의 겸손과 온유한 성품을 닮아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의롭고 거룩한 삶을 살아가는 우리 친구들이 다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다양한 생각과 의견과 감정과 경험을 표현할 때 공감해 주시면서, 때때로 생각의 이유도 물어 보시면서 아이들과 적극적 경청과 공감의 대화를 나누실 수 있으시기를 소망합니다.)
(Through this question, I hope our children may live life in God’s pleasing will by confessing and releasing it whenever their old sinful nature arose in them, being renewed every day, and putting on Jesus’ humility and meekness. When your children express diverse thoughts, opinions, emotions, or experiences, I hope you may empathize with them to enjoy the conversation of empathy through active listening, sometimes asking their thoughts behind.)
사랑합니다. 감사합니다. 축복합니다.
Love you… Thank you… Bless you…
Prayer Note 기도 노트
( ) God ( ) !
Thanks for ( )
Praise, gratitude and glory c You, Lord!
Today, I realized my sin (pains) that ( ),
please forgive (heal) me and help me not to ( ).
I learned that ( )
Please help me (or someone) to ( )
I pray in ( ) Jesus’ name. Amen.
[1] Ursinus, Z., & Williard, G. W. (1888). The Commentary of Dr. Zacharias Ursinus on the Heidelberg Catechism (p. 469). Cincinnati, OH: Elm Street Printing Company.